- 2 843
- 18 815 771
안키 영어 anki english
South Korea
Приєднався 13 лис 2022
카페에서 안키 영어 학습 자료 공유합니다⬇️⬇️⬇️
Відео
문장 20개 1661~168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Переглядів 7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문장 20개 1661~168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641~166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Переглядів 4,7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문장 20개 1641~166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621~164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Переглядів 3,1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문장 20개 1621~164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601~162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Переглядів 3,5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문장 20개 1601~162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581~160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Переглядів 4,5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문장 20개 1581~160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561~158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Переглядів 2,4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문장 20개 1561~158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541~156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Переглядів 1,9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문장 20개 1541~156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521~154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Переглядів 1,7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문장 20개 1521~154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501~152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Переглядів 1,4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문장 20개 1501~152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481~150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Переглядів 1,3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문장 20개 1481~150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461~148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Переглядів 1,3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문장 20개 1461~148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441~146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Переглядів 1,1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문장 20개 1441~146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421~144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Переглядів 1,5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문장 20개 1421~144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401~142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Переглядів 1,5 тис.3 місяці тому
문장 20개 1401~142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100개 1301~140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100개
Переглядів 1,8 тис.4 місяці тому
문장 100개 1301~140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100개
1381~140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Переглядів 1,6 тис.4 місяці тому
1381~140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361~138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Переглядів 1,4 тис.4 місяці тому
1361~138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341~136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Переглядів 1,2 тис.4 місяці тому
1341~136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321~134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Переглядів 1,1 тис.4 місяці тому
1321~134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301~132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Переглядів 1,1 тис.4 місяці тому
1301~132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201~130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100개
Переглядів 1,5 тис.4 місяці тому
1201~130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100개
1261~128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Переглядів 1,1 тис.4 місяці тому
1261~128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201~122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Переглядів 1 тис.4 місяці тому
1201~122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20개
1101~120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100개
Переглядів 1,2 тис.4 місяці тому
1101~1200 미드에서 흔히 쓰는 영어 회화 표현 문장 100개
Eat your words!!! You bastard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네가 한 말 취소해..이 멍충아 . ㅋㅋㅋㅋㅋㅋ Eat your words !!!
영어는 몇천년전 우리말이다 백인들은 남의말 미개인 말들이섬세치못해 엉터리 뚜드려맞춤말 단어하나에 문장에따라 수십가지 이제또 한국어를 빌려써야한다당연이 한문 가나 떼나라 왜나라 이제 멸망의길만이 한글과 한국말을 비려써야만 현대를 살아남을수 있다 떼국 왜인 영어권 독일 프랑스 영어와 똑같다 멸망의길만이 한국 영원무궁무진 무궁화꽃 번영의길만이
전인호말씀.
매우 성의있고자세한 설명 예문끼지 정성기득한 선생님의 마음 감사드립니다❤
Let’s agree to disagree. 🎉🎉
Butter him up
Cream of the crop
Just in the nick of time ; 정말 극적인 순간에
Sink or swim😊
【 기본 정보 】 ▪ 영어 표현: "Home stretch" ▪ 직역: (문자적 의미): "집으로 뻗다/늘어나다" home (집), stretch (뻗다/늘이다) (관용적 의미): 어떤 일이나 과정의 마지막 단계나 구간 ▪ 의역: 1. 마지막 단계 2. 막바지 구간 3. 마지막 고비 4. 최종 구간 ▪ 발음: [ˈhoʊm ˈstretʃ] (홈 스트레치)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목표 달성이나 완료를 앞둔 마지막 단계나 시기 ▪ 뉘앙스: - 긍정적이며 성취가 가까움을 암시 - 끝이 보이는 상태 - 마지막 노력 필요 ▪ 사용 맥락: - 프로젝트 완료 단계 - 학업 마지막 기간 - 업무 마무리 단계 - 목표 달성 직전 【 유래/역사,어원,기원 】 이 표현은 1841년 미국 뉴올리언스의 Daily Picayune 신문에서 처음 등장했습니다. 경마장에서 마지막 커브 구간에서 결승선까지의 직선 구간을 의미하는 용어에서 유래했습니다. 【 의미의 발전 】 - 1840년대: 경마 용어로 마지막 직선 주로를 의미했음 - 1900년대 중반: 스포츠를 넘어 일반적인 상황의 마지막 단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확장됨 - 현재: 모든 종류의 장기적인 활동이나 프로젝트의 마지막 단계를 의미하는 일반적 표현이 됨 【 문법적 기능 】 ▪ 기본 문법 형태: 전체가 하나의 관용구로 쓰이는 복합 명사구 ▪ 구조: - 첫 번째 명사(noun as modifier): home - 두 번째 명사(head noun): stretch * 항상 'the home stretch' 형태로 사용됨 * 전체가 하나의 관용 표현으로 사용됨 ▪ 문장 내 기능: 1. 전치사구의 목적어로 사용: - be in/on the home stretch (마지막 단계에 있다) - enter/reach the home stretch (마지막 단계에 들어서다) 2. 목적어로 사용: - hit/make the home stretch (마지막 단계에 도달하다) - approach the home stretch (마지막 단계에 근접하다) ▪ 주요 결합 패턴: - be in/on the home stretch - enter/reach/hit the home stretch - approach/near the home stretch * 항상 정관사 'the'와 함께 사용됨 * 주로 진행 상태나 도달을 나타내는 동사와 결합 ▪ 활용 예시: - "The students are in the home stretch of the semester" (학생들은 학기의 마지막 단계에 있다) - "Our renovation project is entering the home stretch" (우리의 리모델링 프로젝트가 마지막 단계에 들어서고 있다) 【예문과 활용】 ▪기초 예문 "We're in the home stretch of this project." (우리는 이 프로젝트의 마지막 단계에 있다) "The students are on the home stretch before graduation." (학생들은 졸업을 앞둔 마지막 단계에 있다) ▪실전 회화 예문 "Don't give up now - we're in the home stretch!" (지금 포기하지 마 - 우리는 마지막 단계야!) "The team has finally reached the home stretch of development." (팀이 마침내 개발의 마지막 단계에 도달했다) ▪유사 표현 "Final lap" (마지막 구간) "Last leg" (마지막 단계) ▪반대 표현 "Starting point" (시작점) "Early stages" (초기 단계) 【 주의할 점 】 ▪자주 혼동하는 표현: - "Final stage"(최종 단계)와의 차이 - 항상 관사 'the'와 함께 사용 ▪ 발음 주의: - 'stretch'의 끝소리 명확히
【 기본 정보 】 ▪ 영어 표현: "Cream of the crop" ▪ 직역: (문자적 의미): "농작물의 크림" cream (크림/최고), of (의), the (그), crop (농작물) (관용적 의미): 어떤 그룹이나 집단에서 가장 우수한 것이나 사람 ▪ 의역: 1. 최고 중의 최고 2. 정예 중의 정예 3. 엘리트 중의 엘리트 4. 가장 뛰어난 것 ▪ 발음: [kriːm əv ðə krɒp] (크림 어브 더 크롭)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특정 그룹이나 분야에서 가장 뛰어나고 우수한 존재를 지칭 ▪ 뉘앙스: - 최상의 품질 - 탁월한 능력 - 선별된 우수성 - 특별한 가치 ▪ 사용 맥락: - 인재 평가 - 제품 품질 - 선발 결과 - 우수성 강조 ▪ 【유래/역사,어원,기원】 이 표현은 16세기부터 'cream'이라는 단어가 '최고'의 의미로 사용된 것에서 시작되었습니다. 프랑스어 'la créme de la créme'(크림 중의 크림)에서 영감을 받아 1800년대에 영어로 'cream of the crop'이라는 표현이 만들어졌습니다. 우유에서 크림이 가장 위로 올라가는 것처럼 최고의 것을 의미하게 되었습니다. 【 문법적 기능 】 ▪ 기본 문법 형태: 전체가 하나의 관용구로 쓰이는 명사구 ▪ 구조: - 핵심어(head noun): cream - 전치사구(prepositional phrase): of the crop * 항상 'the cream of the crop' 형태로 사용됨 * 전체가 하나의 단위로 취급 ▪ 문장 내 기능: 1. 보어로 사용: - be the cream of the crop (최고 중의 최고이다) 2. 명사적 용법: - "They're the cream of the crop" (그들은 최고 중의 최고다) ▪ 주요 결합 패턴: - is/are/was/were the cream of the crop - consider someone the cream of the crop * 정관사 'the'와 함께 사용됨 ▪ 활용 예시: - "She's the cream of the crop" (그녀는 최고 중의 최고다) - "It's the cream of the crop" (이것은 최고 중의 최고다) 【예문과 활용】 ▪기초 예문 "These students are the cream of the crop." (이 학생들은 최고 중의 최고입니다) "She hired only the cream of the crop." (그녀는 최고의 인재들만 고용했다) ▪실전 회화 예문 "Our company recruits only the cream of the crop." (우리 회사는 최고의 인재들만 뽑습니다) "This university accepts the cream of the crop." (이 대학은 최우수 학생들만 받아들입니다) ▪유사 표현 "Best of the best" (최고 중의 최고) "Top of the line" (최상급의) ▪반대 표현 "Bottom of the barrel" (최하급의) "Run of the mill" (평범한) 【 주의할 점 】 ▪자주 혼동하는 표현: - "Top notch"(최고급)와의 차이 - 항상 'the'와 함께 사용 ▪ 발음 주의: - 'of the'의 약형 발음
【 기본 정보 】 ▪ 영어 표현: "Keep a stiff upper lip" ▪ 직역: (문자적 의미): "윗입술을 단단히 유지하다" keep (유지하다), a (하나의), stiff (단단한), upper (위쪽의), lip (입술) (관용적 의미): 어려운 상황에서도 감정을 억누르고 침착하게 견디는 것 ▪ 의역: 1. 감정을 억누르다 2. 침착함을 유지하다 3. 태연한 척하다 4. 의연하게 견디다 ▪ 발음: [ˌkiːp ə ˌstɪf ˈʌpər ˌlɪp] (킵어 스티프 어퍼 립)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힘든 상황에서도 감정을 드러내지 않고 침착하게 견디는 태도 ▪ 뉘앙스:강인함과 자제력을 긍정적으로 평가 ▪ 사용 맥락: - 어려운 상황 - 감정적 순간 - 위기 상황 - 실망스러운 결과 【 유래/역사,어원,기원 】 이 표현은 19세기 영국에서 유래했습니다. 영국의 상류층 문화에서 감정을 드러내지 않고 침착함을 유지하는 것이 미덕으로 여겨진 것에서 시작되었습니다. 【 의미의 발전 】 - 초기: 영국 상류층의 감정 억제와 자제력을 표현하는데 사용됨 - 중기: 영국 문화를 대표하는 표현이 되어 어려움 속에서도 침착함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하게 됨 - 현재: 모든 종류의 어려운 상황에서 감정을 통제하고 의연하게 대처하는 것을 의미하는 일반적 표현이 됨 【 문법적 기능 】 ▪ 기본 문법 형태: 전체가 하나의 관용구로 쓰이는 동사구 ▪ 구조: - 동사(verb): keep - 관사 + 형용사 + 명사구(article + adjective + noun phrase): a stiff upper lip * 전체가 하나의 관용 표현으로 사용됨 ▪ 문장 내 기능: 1. 능동형으로 사용: - keep a stiff upper lip (감정을 억누르다) - try to keep a stiff upper lip (감정을 억누르려 하다) 2. 조언/필요의 표현: - must/should keep a stiff upper lip (감정을 억눌러야 한다) - need to keep a stiff upper lip (감정을 억눌러야 한다) ▪ 주요 결합 패턴: - try/manage/learn to keep a stiff upper lip - always/somehow keep a stiff upper lip - be able to keep a stiff upper lip * 주로 의지나 노력을 나타내는 동사와 결합 ▪ 활용 예시: - "He kept a stiff upper lip throughout the difficult meeting" (그는 어려운 회의 내내 감정을 억눌렀다) - "You'll have to learn to keep a stiff upper lip" (당신은 감정을 억누르는 법을 배워야 할 것입니다) 【예문과 활용】 ▪기초 예문 "She kept a stiff upper lip during the funeral." (그녀는 장례식 동안 감정을 억누르고 있었다) "It's important to keep a stiff upper lip in difficult times." (어려운 시기에는 감정을 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전 회화 예문 "Despite the bad news, he managed to keep a stiff upper lip." (나쁜 소식에도 불구하고, 그는 가까스로 감정을 다스렸다) "Just keep a stiff upper lip and carry on." (그저 감정을 억누르고 계속 진행해) ▪유사 표현 "Hold it together" (감정을 다스리다) "Maintain composure" (침착함을 유지하다) ▪반대 표현 "Break down" (감정이 폭발하다) "Lose control" (통제력을 잃다) 【 주의할 점 】 ▪자주 혼동하는 표현: - "Keep cool"(침착하다)와의 차이 - "Keep calm"(차분함을 유지하다)과의 구별 ▪ 발음 주의: - 'stiff'와 'upper' 사이 연음 주의
Just in the nick of time 정말 극적인 순간에
좋은 표현 진심으로 감사
【 기본 정보 】 ▪ 영어 표현: "Once bitten, twice shy" ▪ 직역: (문자적 의미): "한 번 물리면, 두 번 겁먹는다/조심한다" once (한 번), bitten (물린), twice (두 번), shy (겁먹은/조심스러운) (관용적 의미): 한 번 나쁜 경험을 하면 다음에는 매우 조심하게 된다는 의미 ▪ 의역: 1. 한 번 당하면 두 번 다시는 안 당한다 2. 한 번 실수하면 두 번은 조심한다 3. 경험한 실수는 반복하지 않는다 4. 실패는 교훈이 된다 5. 경험이 조심성을 키운다 ▪ 발음: [ˈwʌns ˌbɪtn | ˈtwaɪs ˈʃaɪ] (원스 비튼 | 트와이스 샤이)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부정적인 경험 후에 더욱 조심스러워지는 인간의 자연스러운 심리를 표현 ▪ 뉘앙스: - 경험을 통한 학습과 신중함을 강조 - 방어적 자세 ▪ 사용 맥락: - 실패 후의 태도 - 관계의 어려움 - 사업상 실패 - 투자 손실 【 유래/역사,어원,기원 】 이 표현은 인간의 보편적인 경험에서 비롯된 속담입니다. 실제로 동물에게 물린 경험을 비유적으로 확장하여 모든 종류의 부정적 경험에 대한 교훈으로 발전했습니다. 【 의미의 발전 】 - 초기: 실제 동물에게 물리는 경험과 관련된 문자 그대로의 의미로 사용됨 - 중기: 신체적 상처나 위험뿐만 아니라 감정적 상처나 실패 경험으로 의미가 확장됨 - 현재: 모든 종류의 부정적 경험과 그로 인한 신중한 태도를 설명하는 일반적 표현이 됨 【 문법적 기능 】 ▪ 기본 문법 형태: 축약 문장형 속담(abbreviated proverbial sentence) ▪ 구조: - 조건절(conditional clause - 축약형): * 부사(adverb): once * 과거분사(past participle): bitten - 주절(main clause - 축약형): * 부사(adverb): twice * 형용사(adjective): shy ▪ 완전한 문장 형태: "(If you are) once bitten, (you will be) twice shy" ▪ 문장 내 기능: - 독립적 속담으로 사용 - 인과관계 표현 - 교훈이나 경고로 【 문법적 기능 】 ▪ 기본 문법 형태: 전체가 하나의 관용구로 쓰이는 축약 문장형 속담 ▪ 구조: - 첫 번째 절(생략된 조건절): * 부사(adverb): once * 과거분사(past participle): bitten * [being/having been이 생략된 형태] - 두 번째 절(생략된 주절): * 부사(adverb): twice * 형용사(adjective): shy * [one becomes/people become이 생략된 형태] ▪ 문장 내 기능: 1. 독립적 격언으로 사용: - Once bitten, twice shy (한 번 당하면 두 번 조심한다) 2. 개인 경험 표현으로 사용: - be once bitten, twice shy (한 번 당한 후 조심하게 되다) ▪ 주요 결합 패턴: - be/become once bitten, twice shy - feel once bitten, twice shy about something * 주로 과거 경험과 현재 태도를 연결하여 사용 ▪ 활용 예시: - "I'm once bitten, twice shy about lending money" (돈을 빌려주는 것에 대해 한 번 당했으니 이제 조심하게 됐어요) - "She's once bitten, twice shy when it comes to relationships" (그녀는 연애에 있어서 한 번 당한 후로 조심하게 됐어요) 【예문과 활용】 ▪기초 예문 "After losing money in stocks, he's once bitten, twice shy." (주식에서 돈을 잃은 후, 그는 다시는 실수하지 않으려 조심한다) "She's once bitten, twice shy when it comes to relationships." (그녀는 연애에 있어서 한 번 당한 후로 매우 조심스러워졌다) ▪실전 회화 예문 "I understand why you're hesitant - once bitten, twice shy." (네가 왜 망설이는지 이해해 - 한 번 당하고 나면 조심하게 되지) "Once bitten, twice shy - that's why I always read the contract carefully now." (한 번 당하고 나면 조심하게 돼 - 그래서 이제는 계약서를 항상 꼼꼼히 읽어) ▪유사 표현 "Learn from experience" (경험에서 배우다) "Fool me once, shame on you" (한 번 속였다면 그건 네 잘못) ▪반대 표현 "Never learn" (절대 배우지 않다) "Make the same mistake" (같은 실수를 반복하다) 【 주의할 점 】 ▪자주 혼동하는 표현: - "Been there, done that"와의 차이 - 항상 부정적 경험 후의 조심성을 의미 ▪ 발음 주의: - 'bitten'의 't' 발음 약하게
자라보고 놀란가슴 솥투껑보고 놀란다.
【 기본 정보 】 ▪ 영어 표현: - "Eager beaver" (서술적 용법) - "Eager-beaver" (형용사적 용법) ▪ 직역: (문자적 의미): "열심인 비버" eager (열심인), beaver (비버) (관용적 의미): 지나치게 열성적이거나 열심히 하는 사람 ▪ 의역: 1. 열성적인 사람 2. 지나치게 의욕적인 사람 3. 과도하게 적극적인 사람 4. 열심히 하는 사람 ▪ 발음: [ˈiːɡər ˈbiːvər] (이거 비버)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매사에 지나치게 열성적이고 적극적인 성향을 가진 사람 ▪ 뉘앙스: - 과도한 열정 - 지나친 성실함 - 적극성 - 때로는 부정적 함의 ▪ 사용 맥락: - 직장 생활 - 학업 태도 - 성격 묘사 - 행동 평가 【 유래/역사,어원,기원 】 이 표현은 20세기 초 제2차 세계대전 시기에 처음 사용되었습니다. 군대에서 상관에게 인정받기 위해 지나치게 열심히 하는 신병들을 지칭하는 말이었습니다. 비버가 자신의 크기에 비해 매우 큰 댐을 열심히 만드는 것에서 착안되었습니다. 댐을 만들고 보수하는 데 항상 부지런한 비버의 특성을 인간의 지나친 열정과 비교한 것입니다. 【 문법적 기능 】 ▪ 기본 문법 형태: 전체가 하나의 관용구로 쓰이는 복합 명사구 ▪ 구조: - 형용사(adjective): eager - 명사(noun): beaver * 용법에 따라 하이픈 사용이 다름 ▪ 문장 내 기능: 1. 서술적 용법 (하이픈 없음): - be an eager beaver (열성적인 사람이다) - act like an eager beaver (열성적으로 행동하다) 2. 한정적 형용사 용법 (하이픈 사용): - an eager-beaver attitude (지나치게 열성적인 태도) - that eager-beaver approach (그 지나치게 열성적인 방식) ▪ 주요 결합 패턴: - is/was an eager beaver - such an eager beaver * 항상 부정관사 'an'과 함께 사용됨 ▪ 활용 예시: - "He's such an eager beaver" (그는 정말 열성적인 사람이야) - "That eager-beaver student" (저 지나치게 열심인 학생) 【예문과 활용】 ▪기초 예문 "He's such an eager beaver at work." (그는 직장에서 정말 지나치게 열심이야) "She's known as the eager beaver of the class." (그녀는 반에서 가장 열성적인 학생으로 알려져 있다) ▪실전 회화 예문 "Don't be such an eager beaver, take it easy!" (그렇게 지나치게 열심히 하지 마, 여유를 가져!) "We need an eager-beaver volunteer for this project." (이 프로젝트를 위해 열성적인 자원봉사자가 필요해요) ▪유사 표현 "Workaholic" (일중독자) "Go-getter" (진취적인 사람) ▪반대 표현 "Slacker" (게으른 사람) "Laid-back person" (느긋한 사람) 【 주의할 점 】 ▪자주 혼동하는 표현: - 서술어로 사용 시: eager beaver - 명사 앞 형용사로 사용 시: eager-beaver ▪ 발음 주의: - 두 단어의 '-er' 발음 동일하게 유지
노래가사로 접했는데 이제야 진짜 의미를 알았어요.
어원이나 기원을 설명해 줘서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또 지난번에 나왔던 어구를 랜덤으로 다시 해주시니 리마인드 하기 좋아요.
【 기본 정보 】 ▪ 영어 표현: "Live and let live" ▪ 직역: (문자적 의미): "살고 살게 하다" live (살다), and (그리고), let (하게 하다), live (살다) (관용적 의미): 타인의 삶의 방식을 간섭하지 않고 서로 존중하는 태도 ▪ 의역: 1. 각자 방식대로 살다 2. 각자의 삶을 존중하다 3. 서로 간섭하지 않다 4.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다 ▪ 발음: [lɪv ænd let lɪv] (리브 앤드 렛 리브)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타인의 생활방식을 인정하고 서로 간섭하지 않는 관용적 태도 ▪ 뉘앙스:관용과 존중을 강조하는 긍정적 표현 ▪ 사용 맥락: - 가치관 차이 - 생활방식 차이 - 갈등 해결 - 조언이나 중재 ▪ 【유래/역사,어원,기원】 이 표현은 관용성과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는 서양 문화에서 발전했습니다. 특히 계몽주의 시대의 자유주의적 사고방식을 반영하는 표현으로, 각 개인의 삶의 방식을 존중해야 한다는 철학을 담고 있습니다. 【 문법적 기능 】 ▪ 기본 문법 형태: 전체가 하나의 관용구로 쓰이는 명령문 연결구 ▪ 구조: - 첫 번째 동사(verb): live - 접속사(conjunction): and - 사역동사구(let live) * 전체가 하나의 고정된 표현으로 사용됨 ▪ 문장 내 기능: 1. 독립적 격언으로 사용: - "Live and let live" (서로 살게 내버려 두자) 2. 명사적 용법: - believe in + living and letting live - prefer + living and letting live ▪ 주요 결합 패턴: - believe in live and let live - adopt a live-and-let-live attitude * 관용구 전체가 하나의 단위로 사용됨 ▪ 활용 예시: - "I believe in live and let live" (나는 서로 존중하며 사는 것을 믿어) - "It's a live-and-let-live philosophy" (그것은 서로 존중하며 사는 철학이다) 【예문과 활용】 ▪기초 예문 "I believe in live and let live." (나는 서로를 존중하며 사는 것을 믿어요) "His philosophy is live and let live." (그의 철학은 서로 간섭하지 않고 사는 거예요) ▪실전 회화 예문 "Just live and let live, don't judge others." (그냥 서로 살게 내버려 두고 남을 판단하지 마세요) "We should adopt a live and let live attitude." (우리는 서로를 존중하는 태도를 가져야 해요) ▪유사 표현 "To each their own" (각자의 방식대로) "Mind your own business" (남의 일에 간섭하지 마라) ▪반대 표현 "Interfere with others" (남의 일에 간섭하다) "Judge others" (남을 판단하다) 【 주의할 점 】 ▪자주 혼동하는 표현: - "Let it be"(내버려 두다)와의 차이 - 관용적 의미로만 사용 ▪ 발음 주의: - 'and'의 약형 발음
【 기본 정보 】 ▪ 영어 표현: "Start from scratch" ▪ 직역: (문자적 의미): "긁는 것부터 시작하다" start (시작하다), from (부터), scratch (긁다/처음) (관용적 의미): 아무것도 없는 처음부터 새로 시작하다 ▪ 의역: 1.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다 2. 새롭게 시작하다 3. 원점에서 시작하다 ▪ 발음: [stɑːt frəm ˈskrætʃ] (스타트 프럼 스크래치)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완전히 처음부터 새로 시작하는 것 ▪ 뉘앙스: - 기존 것 무시 - 도전적이지만 깨끗한 시작을 암시 ▪ 사용 맥락: - 프로젝트 재시작 - 새로운 계획 수립 - 실패 후 재도전 - 완전한 변화 시도 【 유래/역사,어원,기원 】 이 표현은 1700년대 스포츠 경기에서 유래했습니다. 특히 경주에서 선수들의 출발선을 땅에 긁어서(scratch) 표시했던 것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최초의 기록은 1778년 크리켓 경기 매뉴얼에서 발견됩니다. 【 의미의 발전 】 - 1778년: 크리켓 경기에서 선수들의 출발선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됨 - 1853년: 달리기 경기에서 핸디캡 없이 출발하는 선수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기 시작함 - 현재: 모든 분야에서 완전히 새롭게 시작하는 것을 의미하는 일반적 표현이 됨 【 문법적 기능 】 ▪ 기본 문법 형태: 동사구(verb phrase) ▪ 구조: - 동사(verb): start - 전치사구(prepositional phrase): from scratch * 전치사(preposition): from * 명사(noun): scratch ▪ 문장 내 기능: 1. 기본 형태: - start from scratch (처음부터 시작하다) 2. 주요 결합: - have to start from scratch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다) - need to start from scratch (처음부터 다시 시작할 필요가 있다) - decide to start from scratch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기로 결정하다) ▪ 활용 예시: - "We need to start from scratch." (우리는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해) - "I'm starting from scratch." (나는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고 있어) 【예문과 활용】 ▪기초 예문 "The project was so bad we had to start from scratch." (프로젝트가 너무 엉망이라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했다) "She started her career from scratch in a new country." (그녀는 새로운 나라에서 처음부터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 ▪실전 회화 예문 "Don't worry about the mistake - let's start from scratch." (실수에 대해 걱정하지 마 -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자) "Sometimes it's better to start from scratch than try to fix everything." (때로는 모든 것을 고치려 하는 것보다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게 낫다) ▪유사 표현 "Begin anew" (새롭게 시작하다) "Start over" (다시 시작하다) ▪반대 표현 "Build on" (기존의 것을 기반으로 하다) "Continue from" (이어서 하다) 【 주의할 점 】 ▪자주 혼동하는 표현: - "Start over"와의 차이 - "Start fresh"와의 구별 ▪ 발음 주의: - 'scratch'의 끝소리 명확히
【 기본 정보 】 ▪ 영어 표현: "No strings attached" ▪ 직역: (문자적 의미): "붙은 줄이 없는" no (없는), strings (줄들), attached (붙은/연결된) (관용적 의미): 아무런 조건이나 의무가 없는 상태 ▪ 의역: 1. 조건 없는 2. 아무런 제약 없는 3. 대가 없는 4. 책임이 따르지 않는 ▪ 발음: [noʊ strɪŋz əˈtætʃt] (노우 스트링즈 어태치트)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어떠한 조건이나 의무, 제약 없이 자유로운 상태 ▪ 뉘앙스: - 순수한 의도 - 자유로운 선택 - 부담 없음 - 진정성 ▪ 사용 맥락: - 제안이나 선물 - 계약이나 거래 - 인간관계 - 도움 제공 【유래/역사,어원,기원】 이 표현은 인형극에서 유래했습니다. 꼭두각시 인형은 줄로 조종되어 자유롭지 못했지만, 줄이 없는 상태는 완전한 자유를 의미했습니다. 이것이 '어떠한 제약이나 조건도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 관용구가 되었습니다. 【 문법적 기능 】 ▪ 기본 문법 형태: 전체가 하나의 관용구로 쓰이는 형용사구 ▪ 구조: - 부정어(negative): no - 명사(noun): strings - 과거분사(past participle): attached * 수식적 용법에서는 하이픈으로 연결됨 ▪ 문장 내 기능: 1. 서술적 용법: - be no strings attached (조건이 없다) - come with no strings attached (조건 없이 제공되다) 2. 수식적 용법 (하이픈 사용): - a no-strings-attached deal (조건 없는 거래) - this no-strings-attached offer (이 조건 없는 제안) ▪ 주요 결합 패턴: - with no strings attached - has no strings attached * 관용구 전체가 하나의 단위로 사용됨 ▪ 활용 예시: - "The offer comes with no strings attached" (이 제안에는 아무런 조건이 없다) - "It's a no-strings-attached relationship" (그것은 조건 없는 관계다) 【예문과 활용】 ▪기초 예문 "This is a no strings attached offer." (이것은 조건 없는 제안입니다) "The help comes with no strings attached." (이 도움에는 아무런 조건이 없습니다) ▪실전 회화 예문 "I'm offering this with no strings attached." (이것을 아무런 조건 없이 제안하는 겁니다) "Don't worry, it's no strings attached." (걱정 마세요, 아무런 부담 없어요) ▪유사 표현 "Free and clear" (깨끗하고 자유로운) "Without obligation" (의무 없는) ▪반대 표현 "With conditions" (조건부로) "Strings attached" (조건이 붙은) 【 주의할 점 】 ▪자주 혼동하는 표현: - "Free of charge"(무료)와의 차이 - 수식어로 사용 시 하이픈 필요 ▪ 발음 주의: - 'attached'의 't' 발음 약화
【 기본 정보 】 ▪ 영어 표현: "The grass is always greener on the other side (of the fence)" ▪ 직역: (문자적 의미): "(담장) 반대편의 잔디가 항상 더 푸르다" the (그), grass (잔디), is (이다), always (항상), greener (더 푸른), on the other side (반대편에) (관용적 의미): 다른 사람의 상황이 자신의 것보다 더 좋아 보인다는 의미 ▪ 의역: 1. 남의 떡이 더 커 보이다 2. 남의 상황이 더 좋아 보인다 3. 남의 것이 더 좋아 보이다 ▪ 발음: [ðə ˈɡræs ɪz ˈɔːlweɪz ˈɡriːnər ɒn ði ˈʌðə saɪd] (더 그래스 이즈 올웨이즈 그리너)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현재 자신의 상황에 만족하지 못하고 다른 사람의 상황이 더 좋아 보인다는 것 ▪ 뉘앙스: - 인간의 욕심 - 불만족한 현실 - 비현실적 동경 - 자기반성적 교훈 ▪ 사용 맥락: - 불만족한 상황 - 진로/직업 고민 - 인생 상담 - 조언이 필요할 때 【 유래/역사,어원,기원 】 이 표현은 기원전 1세기 로마 시인 오비디우스의 시구 "The harvest is always richer in another man's field" (남의 밭의 수확이 항상 더 풍성하다)에서 시작되었습니다. 【 의미의 발전 】 - 기원전 1세기: 오비디우스의 시에서 농작물 수확에 대한 비유로 처음 등장 - 1545년: 에라스무스의 라틴어 격언이 영어로 번역되어 "The corne in an other mans ground semeth euer more fertyll"로 발전 - 1924년: Raymond B. Egan과 Richard A. Whiting의 노래 "The Grass Is Always Greener in the Other Fellow's Yard"를 통해 현대적 형태로 정착 【 문법적 기능 】 ▪ 기본 문법 형태: 문장형 속담(proverbial sentence) ▪ 구조: - 주어(subject): the grass * 관사(article): the * 명사(noun): grass - be동사(verb): is - 부사(adverb): always - 형용사 비교급(comparative adjective): greener - 전치사구(prepositional phrase): on the other side (of the fence) * 전치사(preposition): on * 관사(article): the * 형용사(adjective): other * 명사(noun): side ▪ 문장 내 기능: - 완전한 독립절로 사용 - 비유적 표현으로 사용 - 교훈적 메시지 전달 ▪ 활용 예시: - "Remember, the grass is always greener." (기억해, 남의 떡이 더 커 보이는 법이야) - "Don't think the grass is always greener." (남의 것이 더 좋아 보인다고 생각하지 마) 【예문과 활용】 ▪기초 예문 "The grass is always greener until you get there." (가보면 그게 그거야) "I know the grass is always greener, but I'm happy here." (남의 것이 더 좋아 보이긴 하지만, 난 여기서 행복해) ▪실전 회화 예문 "Stop thinking the grass is always greener elsewhere." (다른 곳이 더 좋을 거라고 생각하는 걸 그만둬) "Sometimes you need to water your own grass instead of thinking the grass is always greener." (때로는 남의 것만 좋아 보인다고 생각하기보다 자신의 것을 가꾸어야 해) ▪유사 표현 "All that glitters is not gold" (번쩍이는 게 다 금은 아니다) "The grass isn't greener on the other side" (남의 것이 더 좋은 건 아니다) ▪반대 표현 "Be content with what you have" (가진 것에 만족하다) "Count your blessings" (자신의 행복을 세어보다) 【 주의할 점 】 ▪자주 혼동하는 표현: - 전체 문구를 다 말하지 않고 앞부분만 사용 가능 - 'on the other side' 생략 가능 ▪ 발음 주의: - 'greener'의 '-er' 발음 정확히
주수도 사기수법이다. 사형선고 사형선고.
Que significa?
Low-hanging fruit ; a piece of cake
식은 죽 먹기?
Divide and conquer
【 기본 정보 】 ▪ 영어 표현: - "Off the wall" (서술적 용법) - "Off-the-wall" (한정적 형용사 용법) ▪ 직역: (문자적 의미): "벽에서 떨어진" off (떨어진), the (그), wall (벽) (관용적 의미): 매우 특이하거나 일반적이지 않은 것, 예상치 못한, 기발한 ▪ 의역: 1. 엉뚱한 2. 터무니없는 3. 기발한 4. 별난, 특이한 ▪ 발음: [ˌɔf ðə ˈwɔːl][ˌɔf ðə ˈwɔːl] (오프 더 월)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특이하거나 예상치 못한 행동이나 사물을 묘사할 때 사용 ▪ 뉘앙스: - 특이함 - 비정상적 - 독특함 - 예측 불가능 ▪ 사용 맥락: - 행동 묘사 - 아이디어 평가 - 성격 설명 - 상황 묘사 【 유래/역사,어원,기원 】 이 표현은 1970년대에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핸드볼이나 스쿼시 경기에서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튀어나가는 공을 설명하는 데서 유래했습니다. 공이 벽에서 예측할 수 없는 방향으로 튀어나가는 것처럼, 일반적인 기대나 관습에서 벗어난 것을 의미하게 되었습니다. 【 문법적 기능 】 ▪ 기본 문법 형태: 전체가 하나의 관용구로 쓰이는 전치사구/형용사구 ▪ 구조: - 전치사(preposition): off - 정관사 + 명사(definite article + noun): the wall * 용법에 따라 하이픈 사용이 다름 * 전체가 하나의 관용 표현으로 사용됨 ▪ 문장 내 기능: 1. 서술적 용법 (하이픈 없음): - be/seem/sound off the wall (엉뚱하다/터무니없다) - appear/look off the wall (엉뚱해 보이다) 2. 한정적 형용사 용법 (하이픈 사용): - an off-the-wall suggestion (엉뚱한 제안) - that off-the-wall idea (그 터무니없는 생각) ▪ 주요 결합 패턴: - completely/totally/absolutely + off the wall - rather/quite/pretty + off the wall * 서술적 용법: 하이픈 없이 사용 * 한정적 용법: 하이픈으로 연결 ▪ 활용 예시: - "That idea seems completely off the wall" (그 아이디어는 완전히 터무니없어 보인다) - "He came up with an off-the-wall solution" (그는 엉뚱한 해결책을 제시했다) 【예문과 활용】 ▪기초 예문 서술적 용법: "His idea seems off the wall." (그의 아이디어는 엉뚱해 보인다) 한정적 형용사 용법: "She always has off-the-wall suggestions." (그녀는 항상 엉뚱한 제안을 한다) ▪실전 회화 예문 "She sometimes comes up with off the wall solutions." (그녀는 가끔 기발한 해결책을 내놓는다) "The conversation went completely off the wall." (대화가 완전히 엉뚱한 방향으로 흘렀다) ▪유사 표현 "Out there" (엉뚱한) "Bizarre" (기이한) ▪반대 표현 "Normal" (정상적인) "Conventional" (관습적인) 【 주의할 점 】 ▪자주 혼동하는 표현: - "Out of the blue"(갑자기)와의 차이 - 문맥에 따라 긍정/부정적 의미로 사용 가능 ▪ 문법적 주의: - 서술어로 사용 시: off the wall (하이픈 없음) - 명사 앞 형용사로 사용 시: off-the-wall (하이픈 사용) - 구어체에서는 "off the wall" 형태가 더 흔하게 사용됩니다. - 창의적이거나 황당한 것들을 묘사할 때 유용한 표현. ▪ 발음 주의: - 'off'와 'the' 연음 주의
【 기본 정보 】 ▪ 영어 표현: "Shake a leg" ▪ 직역: (문자적 의미): "다리를 흔들다" shake (흔들다), a (하나의), leg (다리) (관용적 의미): 서둘러 행동하거나 빨리 움직이라는 것을 의미 ▪ 의역: 1. 서둘러! 2. 빨리 움직여! 3. 얼른 하자! 4. 어서 움직여! ▪ 발음:[ˈʃeɪk ə ˈleg](쉐이크 어 렉)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누군가에게 빨리 움직이거나 서두르라는 독려 ▪ 뉘앙스: - 친근하고 캐주얼한 독려의 의미 - 가벼운 재촉 - 격식 없는 표현 - 활기찬 어조 ▪ 사용 맥락: - 아침 기상 시 - 출발 전 - 일 시작할 때 - 지각 위험 상황 【 유래/역사,어원,기원 】 이 표현은 19세기 초 선원들 사이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좁은 배 안에서 해먹을 침대로 사용했는데, 아침에 일어날 때 다리를 해먹 밖으로 흔들어 내는 것에서 유래했습니다. 【 의미의 발전 】 - 1800년대 초: 춤추다(dance)라는 의미로 사용됨 - 중기: 해군 용어에서 일반적인 표현으로 발전하여 '서두르다'는 의미로 확장됨 - 현재: 누군가에게 빨리 행동하거나 시작하라고 재촉할 때 사용하는 일상적 표현이 됨 【 문법적 기능 】 ▪ 기본 문법 형태: 동사구(verb phrase) ▪ 구조: - 동사(verb): shake - 목적어(object): a leg * 관사(article): a * 명사(noun): leg ▪ 문장 내 기능: 1. 명령문으로 사용 (가장 일반적): - "Shake a leg!" (서둘러!) - "Come on, shake a leg!" (자, 어서 움직여!) 2. 서술문으로 사용: - "He shook a leg." (그는 서둘렀다) - "We had to shake a leg." (우리는 서둘러야 했다) 3. 권유문으로 사용: - "Let's shake a leg!" (서두르자!) ▪ 활용 예시: - "Shake a leg! We're late!" (서둘러! 우리 늦었어!) - "You need to shake a leg!" (너 빨리 해야 해!) - "Everyone, shake a leg!" (여러분, 서둘러요!) 【예문과 활용】 ▪기초 예문 "It's getting late - shake a leg!" (늦었어 - 서둘러!) "We need to shake a leg if we want to catch the train." (기차를 타려면 서둘러야 해) ▪실전 회화 예문 "Come on kids, shake a leg! The bus is coming!" (어서 애들아, 서둘러! 버스가 온다!) "You'd better shake a leg - the meeting starts in five minutes." (서두르는 게 좋을 거야 - 회의가 5분 후에 시작해) ▪유사 표현 "Get a move on" (서두르다) "Step on it" (서두르다) ▪반대 표현 "Take your time" (천천히 하다) "Slow down" (천천히 하다) 【 주의할 점 】 ▪자주 혼동하는 표현: - "Move your legs"(실제로 다리를 움직이라는 의미)와 구별 - 비격식 표현임을 주의 ▪ 발음 주의: - 'shake a'의 연음 발음 주의
【 기본 정보 】 ▪ 영어 표현: "Turn the tables" ▪ 직역: (문자적 의미): "테이블을 뒤집다" turn (뒤집다/돌리다), the (그), tables (테이블들) (관용적 의미): 불리한 상황을 유리한 상황으로 완전히 바꾸는 것 ▪ 의역: 1. 상황을 역전시키다 2. 판세를 뒤집다 3. 형세를 바꾸다 4. 반전을 만들다 ▪ 발음: [ˈtɜːn ðə ˈteɪbəlz] (턴 더 테이블즈)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상대방이 우세했던 상황에서 자신에게 유리한 상황으로 완전히 바꾸는 것 ▪ 뉘앙스: - 극적인 반전 - 완전한 형세 역전 - 주도권 획득 - 승리로의 전환 ▪ 사용 맥락: - 경쟁 상황 - 게임/스포츠 - 사업/협상 - 인간관계 【 유래/역사,어원,기원 】 이 표현은 1600년대 중반 체스나 백개먼(Backgammon)과 같은 보드게임에서 유래했습니다. 이 게임에서 게임판을 180도 돌려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는 전략에서 시작되어, 상황을 완전히 뒤집는다는 의미로 발전했습니다. 【 문법적 기능 】 ▪ 기본 문법 형태: 전체가 하나의 관용구로 쓰이는 동사구 ▪ 구조: - 동사(verb): turn - 정관사 + 명사(definite article + noun): the tables * 항상 복수형 'tables'로 사용됨 * 전체가 하나의 관용 표현으로 사용됨 ▪ 문장 내 기능: 1. 능동형으로 사용: - turn the tables (on someone) (상황을 역전시키다) - manage to turn the tables (형세를 역전시키다) 2. 수동형으로 사용: - the tables have/had been turned (상황이 역전되었다) - the tables were turned (상황이 역전되었다) ▪ 주요 결합 패턴: - turn the tables on/against someone - completely/quickly/suddenly turn the tables - manage/try/attempt to turn the tables * 주로 전치사 'on/against'와 함께 사용 * 상황의 변화를 나타내는 부사와 결합 ▪ 활용 예시: - "She turned the tables on her opponents" (그녀는 상대방에 대해 형세를 역전시켰다) - "The tables were completely turned by the end" (결국 상황이 완전히 뒤바뀌었다) 【예문과 활용】 ▪기초 예문 "The underdog turned the tables on the champion." (약자가 챔피언을 상대로 형세를 역전시켰다) "The tables were turned when new evidence emerged." (새로운 증거가 나오면서 상황이 뒤집혔다) ▪실전 회화 예문 "We need to find a way to turn the tables in our favor." (우리에게 유리하게 상황을 뒤집을 방법을 찾아야 해) "He completely turned the tables in the second half of the game." (그는 후반전에 완전히 판도를 뒤집었다) ▪유사 표현 "Change the game" (게임의 판도를 바꾸다) "Reverse the situation" (상황을 뒤집다) ▪반대 표현 "Accept defeat" (패배를 인정하다) "Give in" (항복하다) 【 주의할 점 】 ▪자주 혼동하는 표현: - "Turn around"(상황을 개선하다)와의 차이 - 항상 복수형 'tables' 사용 ▪ 발음 주의: - 'tables'의 끝소리 [z] 발음 주의
유래를 안 읽었으면 이해조차 못하겠어요
어느 나라던 관용표현이란 게 어렵다 보니 무작정 외우기보다는 유래를 알고 가면 이해하기도 쉽고 재미도 있어서 그 나라 언어를 공부하는데 한결 쉬울 거예요. 예를 들어 오래된 관용구라 해서 안 쓰는 표현이라고 해도 전혀 모르고 있는 것보다는 이렇게라도 한번 듣고 유래를 알고 지나치는 게 낫지 않을까요?. 제가 유독 관용표현 영상이 많은 것은 이 영상을 보고 외우고 공부하라는 게 아니라 이렇게 유래를 보고 관용표현을 이해 함으로서 재미를 느끼고 그 나라의 문화와 언어에 가까워졌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개꿀!!
Haste makes waste
Get a move on. Make it fast. Quickly quick. Shake a leg. 🎉🎉
혹시 우리속담에 "구관이 명관"이라는 말이 있는데 비슷한 말인가요?
약간 비슷하지만 딱 맞는 속담은 아닌 것 같아요.
- "The devil you know"는 주로 익숙한 위험이나 문제를 감수하는 것이 낯선 것보다 더 나은 선택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즉, 불리한 상황이라도 잘 알고 있는 것이 더 안전하다는 뉘앙스가 강합니다. - 반면 "구관이 명관"은 경험이 많은 사람이나 상황이 더 신뢰할 수 있다는 의미로, 주로 경험이나 지식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따라서 두 표현은 비슷한 점이 있지만,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The devil you know"는 특정한 위험을 감수하는 맥락에서, "구관이 명관"은 경험이나 지식의 신뢰성을 강조하는 맥락에서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합니다.
직역/의역/유래/예문 댓글에 정리해주신게 더 보기 좋았는데요;; 어쨌든 이게 어디냐 감지덕지 입니다만.. 암튼 감사합니다 :)
더보기로 보면 줄간격 띄어쓰기 무시되고 다 붙어서 가독성이 떨어지거든요ㅠ
게시글에 설문 조사 후 업로드 시 본문 내용 정리해서 업로드 하고 다음날 일괄적으로 한번 더 추가로 본문 내용을 댓글로 올리고 있습니다.그래서 본문과 댓글 2번 올라가고 있어요.참고 부탁드립니다^^
재밌게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기본 정보 】 ▪ 영어 표현: "Fly on the wall" ▪ 직역: (문자적 의미): "벽 위에 파리" fly (파리), on (위에), the (그), wall (벽) (관용적 의미): 눈에 띄지 않게 관찰하는 사람이나 그런 상태 ▪ 의역: 1. 보이지 않는 관찰자 2. 몰래 지켜보는 사람 3. 숨어서 관찰하는 사람 ▪ 발음: [ˈflaɪ ɒn ðə ˈwɔːl] (플라이 온 더 월)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특정 상황이나 대화를 눈에 띄지 않게 관찰하는 사람이나 그런 상태 ▪ 뉘앙스: - 은밀한 관찰 - 방해하지 않는 존재 - 객관적 관찰자 - 비개입적 입장 ▪ 사용 맥락: - 연구/관찰 상황 - 회의/토론 참관 - 현장 조사 - 다큐멘터리 촬영 【 유래/역사,어원,기원 】 이 표현은 1900년대 초반에 등장했습니다. 벽에 붙어 아무도 눈치채지 못하게 모든 것을 관찰할 수 있는 파리의 특성에서 유래했습니다. 【 의미의 발전 】 - 1900년대 초: 실제 파리의 관찰자적 위치를 설명하는 문자 그대로의 의미로 사용됨. 특히 문학 작품에서 은밀한 관찰을 묘사할 때 사용됨 - 1940년대: 다큐멘터리 촬영 기법을 설명하는 용어로 발전. 카메라가 존재를 드러내지 않고 자연스러운 상황을 촬영하는 방식을 의미하게 됨 - 현재: 모든 종류의 비개입적 관찰이나 은밀한 관찰 상황을 설명하는 일반적 표현이 됨. 특히 연구나 다큐멘터리 제작에서 자주 사용됨 【 문법적 기능 】 ▪ 기본 문법 형태: 명사구(noun phrase) ▪ 구조: - 핵심어(head noun): fly - 수식어구(modifier): on the wall * 전치사(preposition): on * 관사(article): the * 명사(noun): wall ▪ 문장 내 기능: - 보어 위치: be a fly on the wall - 비유 표현: like/as a fly on the wall - 주어 위치: A fly on the wall would... ▪ 활용 예시: - "I wish I could be a fly on the wall." (내가 보이지 않는 관찰자가 되었으면 좋겠다) - "She acted as a fly on the wall." (그녀는 보이지 않는 관찰자처럼 행동했다) 【예문과 활용】 ▪기초 예문 "I'd love to be a fly on the wall during their meeting." (그들의 회의를 보이지 않게 관찰하고 싶다) "The documentary maker was like a fly on the wall." (다큐멘터리 제작자는 보이지 않는 관찰자 같았다) ▪실전 회화 예문 "Don't you wish you could be a fly on the wall in that conversation?" (그 대화에서 보이지 않는 관찰자가 되고 싶지 않니?) "The researcher remained a fly on the wall throughout the experiment." (연구자는 실험 내내 보이지 않는 관찰자로 남아있었다) ▪유사 표현 "Silent observer" (조용한 관찰자) "Invisible presence" (보이지 않는 존재) ▪반대 표현 "Active participant" (적극적인 참여자) "Center of attention" (주목의 대상) 【 주의할 점 】 ▪자주 혼동하는 표현: - "Be a mouse in the corner"와의 차이 - 항상 단수형(fly)으로 사용 ▪ 발음 주의: - 'on the'의 연음 발음 주의
【 기본 정보 】 ▪ 영어 표현: "The devil you know" (전체 속담: "Better the devil you know than the devil you don't" 의 축약형으로 사용됨) ▪ 직역: (문자적 의미): "네가 아는 악마" the (그), devil (악마), you (네가), know (아는) (관용적 의미): 익숙한 나쁜 상황이 낯선 상황보다 낫다는 의미 ▪ 의역: 1. 차라리 익숙한 게 낫다 2. 알고 있는 게 더 낫다 3. 익숙한 불편함이 더 낫다 ▪ 발음: [ðə ˈdevəl ju ˈnoʊ] (더 데블 유 노우)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익숙한 문제나 상황이 알 수 없는 새로운 상황보다 낫다는 의미 ▪ 뉘앙스: - 현실적인 선택 - 안전 지향적 - 위험 회피 - 현상 유지 ▪ 사용 맥락: - 변화 결정 시 - 직장 이직 고민 - 관계 변화 고민 - 상황 선택 시 【 유래/역사,어원,기원 】 이 속담은 14세기 아일랜드에서 유래했습니다. 전체 문구는 "Better the devil you know than the devil you don't" (모르는 악마보다는 아는 악마가 낫다)입니다. 당시 사회적, 정치적 변화가 많았던 시기에 익숙한 어려움이 알 수 없는 새로운 위험보다 낫다는 보수적인 사고방식을 반영했습니다. 익숙한 어려움이 낯선 어려움보다 대처하기 쉽다는 오랜 지혜를 담고 있습니다. 【 문법적 기능 】 ▪ 기본 문법 형태: 전체가 하나의 관용구로 쓰이는 명사구 ▪ 구조: - 정관사(definite article): the - 명사(noun): devil - 관계절(relative clause): you know * 전체가 하나의 단위로 취급됨 ▪ 문장 내 기능: 1. 비교 표현으로 사용: - better the devil you know (than the devil you don't) (모르는 것보다 아는 게 낫다) - prefer the devil you know (익숙한 것을 선호하다) 2. 선택 표현으로 사용: - stick with the devil you know (익숙한 것을 고수하다) - choose the devil you know (익숙한 것을 선택하다) ▪ 주요 결합 패턴: - better the devil you know than... - stick with/choose/prefer the devil you know * 주로 비교나 선택의 맥락에서 사용 ▪ 활용 예시: - "I'll stick with the devil I know" (난 익숙한 것을 고수할래요) - "Better the devil you know than the devil you don't" (모르는 것보다 아는 게 낫다) 【예문과 활용】 ▪기초 예문 "I'll stick with the devil I know." (차라리 익숙한 걸로 하겠어) "Sometimes it's better to choose the devil you know." (때로는 익숙한 것을 선택하는 게 더 낫다) ▪실전 회화 예문 "The job isn't great, but better the devil you know." (일이 좋진 않지만, 차라리 익숙한 게 낫지) "Why change jobs? At least you know the devil you're dealing with." (왜 직장을 바꾸려고? 적어도 지금은 상황을 알잖아) ▪유사 표현 "Better safe than sorry" (모르는 것보다 아는 게 낫다) "Stick to what you know" (아는 것을 고수하다) ▪반대 표현 "Take a leap of faith" (믿고 도전하다) "Embrace the unknown" (미지의 것을 받아들이다) 【 주의할 점 】 ▪자주 혼동하는 표현: - 전체 속담의 축약형임을 이해 - 맥락에 따라 긍정/부정적 의미로 사용 가능 ▪ 발음 주의: - 'the'와 'devil' 연음 주의
어원은 쥴리어스 시저지만, 이 말이 유명해 진 것은 유럽 열강의 아프리카 식민지에 대한 정책때문이죠. 여러 부족이 있는 경우 한 부족에 대해서만 우대를 해주고 나머지 부족은 소외시켜서 부족간의 갈등을 부추겨서 통치하기 편하도록 했던 역사가 있었죠. 그 갈등이 현재까지 이어지는 경우도 있어서 씁쓸합니다.
덕분에 또 이렇게 하나 배웁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바로 본문과 댓글 내용 수정했습니다. 이런 팩트는 모든 분과 공유해야죠^^
【 기본 정보 】 ▪ 영어 표현: "I'm at my wit's end" ▪ 직역: (문자적 의미): "나는 내 지혜의 끝에 있다" I'm (나는 ~이다), at (~에 있다), my (내), wit's (지혜의), end (끝) (관용적 의미): 더 이상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를 정도로 곤란한 상황에 처한 것 ▪ 의역: 1. 답답해 죽겠다 2. 어찌해야 할지 모르겠다 3. 진땀이 날 지경이다 ▪ 발음: [aɪm æt maɪ ˈwɪts ˈend] (아임 앳 마이 위츠 엔드)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더 이상의 해결책이나 대처 방법을 찾지 못해 극도로 좌절된 상태 ▪ 뉘앙스: - 극도의 좌절감 - 막막함 - 정신적 피로 - 해결책 부재 ▪ 사용 맥락: - 문제 해결 실패 - 스트레스 상황 - 육아/교육 문제 - 업무상 난관 【 유래/역사,어원,기원 】 이 표현은 1500년대에 등장했습니다. 'wit'이 당시에는 '정신적 능력'이나 '지혜'를 의미했던 것에서 유래했습니다. 【 의미의 발전 】 - 1500년대: 실제로 자신의 지적 능력의 한계에 도달했다는 의미로 사용됨 - 중기: 문제 해결을 위한 모든 방법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는 의미로 발전함 - 현재: 좌절감과 무력감이 동반된 절망적인 상황을 설명하는 일반적 표현이 됨 【 문법적 기능 】 ▪ 기본 문법 형태: 문장형 관용구(idiomatic sentence) ▪ 구조: - 주어 + be동사: I'm (I am) - 전치사구(prepositional phrase): at my wit's end * 전치사(preposition): at * 소유격 한정사(possessive determiner): my * 소유격 명사(possessive noun): wit's * 명사(noun): end ▪ 문장 내 기능: - 완전한 독립절로 사용 - with/about 등의 전치사와 결합 가능 ▪ 활용 예시: - "I'm at my wit's end with this problem." (이 문제로 진땀이 나는 지경이다) - "She's at her wit's end trying to handle the kids." (그녀는 아이들을 다루느라 어찌해야 할지 모르겠다) - "We're at our wit's end about this situation." (우리는 이 상황에 대해 답답해 죽겠다) 【예문과 활용】 ▪기초 예문 "I'm at my wit's end trying to fix this computer." (이 컴퓨터를 고치느라 어찌해야 할지 모르겠다) "The teacher is at her wit's end with that student." (선생님은 그 학생 때문에 진땀을 빼고 있다) ▪실전 회화 예문 "I've tried everything - I'm at my wit's end!" (다 해봤는데 - 정말 답답해 죽겠어!) "She's been at her wit's end since the baby started teething." (아기가 이가 나기 시작한 이후로 그녀는 어찌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한다) ▪유사 표현 "At the end of my rope" (더 이상 견딜 수 없다) "At a loss" (어찌할 바를 모르다) ▪반대 표현 "Have it under control" (상황을 통제하다) "Have everything figured out" (모든 것을 파악하다) 【 주의할 점 】 ▪자주 혼동하는 표현: - "At the end of my tether"와의 구별 - 항상 소유격(my, his, her 등)과 함께 사용 ▪ 발음 주의: - 'wit's'의 소유격 's' 발음 명확히
【 기본 정보 】 ▪ 영어 표현: "Under my belt" ▪ 직역: (문자적 의미): "내 벨트 아래에" under (아래에), my (나의), belt (벨트) (관용적 의미): 경험이나 성과를 자신의 것으로 획득한 상태나 과정 ▪ 의역: 1. 결과 강조: - 경험으로 쌓은 - (경험이) 축적된 상태의 - (성과로) 보유하고 있는 2. 과정 강조: - 경험을 획득하다 - 성과를 이루다 - 실력을 쌓다 ▪ 발음: [ˌʌndər maɪ ˈbelt] (언더 마이 벨트)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1. 결과적 의미: 경험이나 성과가 축적되어 있는 상태 2. 과정적 의미: 경험이나 성과를 쌓아가는 과정 ▪ 뉘앙스: - 개인의 성취 - 실제 경험 - 입증된 능력 - 축적된 노하우 ▪ 사용 맥락: 1. 결과 강조: - 자격 증명 - 경력 소개 - 능력 입증 - 성과 보고 2. 과정 강조: - 목표 설정 - 경험 축적 - 실력 향상 - 자기 개발 【 유래/역사,어원,기원 】 이 표현은 1700년대 후반 스코틀랜드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처음에는 음식이나 술을 섭취하여 배(벨트 아래)에 들어있다는 문자 그대로의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1920-30년대에 이르러 현재의 비유적 의미인 '경험이나 성과를 획득하다'라는 뜻으로 발전했습니다. 【 문법적 기능 】 ▪ 기본 문법 형태: 전치사구(prepositional phrase) ▪ 구조: - 전치사(preposition): under - 소유격 한정사(possessive determiner): my - 명사(noun): belt ▪ 문장 내 기능: 1. 결과 의미: - have + something + under one's belt (경험으로 쌓은 것이 있다) - with + amount/period + under one's belt (특정 기간/양의 경험으로 쌓은) 2. 과정 의미: - get/put + something + under one's belt (경험을 쌓다) - need + something + under one's belt (경험을 쌓을 필요가 있다) 【예문과 활용】 ▪기초 예문 결과 강조: "With ten years under my belt, I'm confident in my skills." (10년의 경험으로 쌓은 실력이 있어 자신 있다) 과정 강조: "I need to get more experience under my belt." (더 많은 경험을 쌓을 필요가 있다) ▪실전 회화 예문 결과 강조: "She has three successful projects under her belt." (그녀는 세 개의 성공적인 프로젝트로 쌓은 경험이 있다) 과정 강조: "You should try to get some teaching experience under your belt." (교육 경험을 좀 쌓아보는 게 좋을 거야) ▪유사 표현 "Have experience in" (~의 경험이 있다) "Build up experience" (경험을 쌓다) ▪반대 표현 "Lack experience" (경험이 부족하다) "Be new to" (~에 미숙하다) 【 주의할 점 】 ▪자주 혼동하는 표현: - "On one's record"(기록에 있다)와의 차이 - 문맥에 따라 결과/과정 의미 구분 필요 ▪ 발음 주의: - 'under'와 'my' 연음 발음 주의
【 기본 정보 】 ▪ 영어 표현: "Eat your words" ▪ 직역: (문자적 의미): "당신의 말을 먹다" eat (먹다), your (당신의), words (말들) (관용적 의미): 자신이 한 말이 틀렸음을 인정하고 취소하다 ▪ 의역: 1. 했던 말을 취소하다 2. 발언을 철회하다 3. 틀렸음을 인정하다 4. 잘못을 시인하다 ▪ 발음: [ˈiːt jər ˈwɜːrdz] (잇 여워즈)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이전에 했던 말이 틀렸거나 부적절했음을 인정하고 철회하는 것 ▪ 뉘앙스: - 약간의 창피함이나 굴욕감을 내포 - 겸손한 인정 - 잘못된 판단 시인 ▪ 사용 맥락: - 잘못된 예측이나 판단 - 성급한 결론의 정정 - 부적절한 발언 철회 - 자만한 태도 수정 【 유래/역사,어원,기원 】 이 표현은 1570년대에 처음 등장했습니다. 자신이 한 말을 실제로 먹는다는 물리적 행위를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에서 시작되었습니다. 【 의미의 발전 】 - 1570년대: 문자 그대로 자신의 말을 되삼키는 것을 의미했음. 특히 잘못된 말을 취소하는 것을 설명할 때 사용됨 - 중기: 비유적 의미로 발전하여 자신의 말이 틀렸음을 인정하는 것을 의미하게 됨 - 현재: 이전의 발언이나 주장이 틀렸음을 인정하고 철회하는 모든 상황을 설명하는 일반적 표현이 됨 【 문법적 기능 】 ▪ 기본 문법 형태: 동사구(verb phrase) ▪ 구조: - 동사(verb): eat - 목적어(object): your words * 소유격 한정사(possessive determiner): your * 명사(noun): words ▪ 문장 내 기능: - 타동사 구문으로 사용 - 직접 목적어 필요 ▪ 주요 동사 결합: - have to + eat your words (말을 철회해야 하다) - make someone + eat their words (누군가가 말을 철회하게 만들다) - end up + eating your words (결국 말을 철회하게 되다) ▪ 활용 예시: - "He had to eat his words." (그는 자신의 말을 철회해야 했다) - "I made him eat his words." (나는 그가 말을 철회하게 만들었다) - "You'll end up eating your words." (너는 결국 말을 철회하게 될 거야) 【예문과 활용】 ▪기초 예문 "The critic had to eat his words when the movie became a hit." (그 비평가는 영화가 히트작이 되자 자신의 말을 철회해야 했다) "You might have to eat your words when you see the results." (결과를 보면 네가 한 말을 철회해야 할 수도 있어) ▪실전 회화 예문 "I told you so! Now eat your words!" (내가 말했잖아! 이제 네 말을 철회해!) "He was forced to eat his words after the team won." (팀이 승리한 후 그는 자신의 말을 철회해야 했다) ▪유사 표현 "Take back what you said" (한 말을 취소하다) "Swallow your pride" (자존심을 꺾다) ▪반대 표현 "Stand by your words" (자신의 말을 지키다) "Stick to your guns" (자신의 입장을 고수하다) 【 주의할 점 】 ▪자주 혼동하는 표현: - "Take back"(철회하다)와의 차이 - "Swallow your pride"(자존심을 꺾다)와의 구별 ▪ 발음 주의: - 'your'와 'words' 사이 연음 주의
【 기본 정보 】 ▪ 영어 표현: "Take a back seat" ▪ 직역: (문자적 의미): "뒷좌석을 차지하다" take (잡다/차지하다), a (하나의), back (뒤의), seat (좌석) (관용적 의미): 주도적인 역할을 포기하고 덜 중요한 위치로 물러나는 것을 의미 ▪ 의역: 1. 뒷전으로 물러나다 2. 한발 물러서다 3. 보조적 역할을 맡다 4. 주도권을 양보하다 ▪ 발음: [ˈteɪk ə ˌbæk ˈsiːt] (테이커 백 시트)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덜 주도적 역할을 포기하고 덜 적극적인 위치로 물러나는 것 ▪ 뉘앙스: - 자발적/비자발적 양보 - 반드시 부정적이지는 않으며, 때로는 전략적 선택일 수 있음 - 소극적 참여 - 겸양/양보 ▪ 사용 맥락: - 업무/프로젝트 상황 - 우선순위 결정 - 역할 분담 - 인간관계 ▪ [ 유래/역사,어원,기원 ]: 이 표현은 자동차나 마차에서 운전석이 아닌 뒷좌석에 앉는 것에서 유래했습니다. 운전석에 앉은 사람이 방향과 속도를 통제하듯이, 주도권이나 통제권을 다른 사람에게 넘기는 것을 의미하게 되었습니다. 【 문법적 기능 】 ▪ 기본 문법 형태: 동사구(verb phrase) ▪ 구조: - 동사(verb): take - 목적어(object): a back seat * 관사(article): a * 형용사(adjective): back * 명사(noun): seat ▪ 문장 내 기능: - 주요 동사로 사용 - to/for과 함께 사용 가능 ▪ 주요 동사 결합: - have to + take a back seat (뒤로 물러나야 하다) - be forced to + take a back seat (뒤로 물러날 수밖에 없다) - decide to + take a back seat (뒤로 물러나기로 결정하다) ▪ 활용 예시: - "She had to take a back seat in this project." (그녀는 이 프로젝트에서 한 발 물러나야 했다) - "His career took a back seat to family life." (그의 경력은 가정생활에 밀려 부차적이 되었다) - "The issue has taken a back seat lately." (그 문제는 최근 부차적인 것이 되었다) 【예문과 활용】 ▪기초 예문 "My hobbies have taken a back seat since the baby arrived." (아기가 태어난 이후로 취미는 뒷전이 되었다) "Sometimes you need to take a back seat and let others lead." (때로는 뒤로 물러서서 다른 사람들이 이끌도록 해야 한다) ▪실전 회화 예문 "I don't mind taking a back seat on this project." (이 프로젝트에서 보조적인 역할을 맡아도 괜찮아) "Work has to take a back seat while I focus on my health." (건강에 집중하는 동안 일은 뒷전이 되어야 해) ▪유사 표현 "Step aside" (비켜서다) "Take a step back" (한 발 물러서다) ▪반대 표현 "Take the lead" (주도권을 잡다) "Take charge" (책임을 맡다) 【 주의할 점 】 ▪자주 혼동하는 표현: - "Take the wheel"(주도권을 잡다)와의 차이 - "Step down"(사임하다)과의 구별 ▪ 발음 주의: - 'take a'의 연음 발음 주의
뒷자리로 물러나다,뒷방으로 물러나다, 열쇠를 넘겨주다
【 기본 정보 】 ▪ 영어 표현: "Haste makes waste" ▪ 직역: (문자적 의미): "서두름이 낭비를 만든다" haste (서두름/급함), makes (만든다), waste (낭비/쓰레기) (관용적 의미): 일을 급하게 서두르면 실수하기 쉽고 결국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낭비된다는 의미 ▪ 의역: 1. 서두르다 보면 실수한다 2. 급할수록 돌아가라 3. 빨리 가려다 더 늦는다 4. 조급함이 실수를 부른다 ▪ 발음: [ˈheɪst ˈmeɪks ˈweɪst] (헤이스트 메익스 웨이스트)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너무 서두르면 오히려 실수를 하게 되어 더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교훈 ▪ 뉘앙스: - 교훈적인 의미 - 경험에서 나온 지혜 - 조언이나 훈계의 어조 ▪ 사용 맥락: - 누군가가 성급하게 일을 처리할 때 - 실수를 예방하고자 할 때 - 신중함이 필요한 상황 - 조언이 필요한 때 ▪ [ 유래/역사,어원,기원 ]: 이 속담은 중세 영어에서 유래했으며, 장인들이 서둘러 만든 물건은 결함이 생기기 쉽다는 실제 경험에서 비롯되었습니다. 【 의미의 발전 】 - 초기: 수공업에서 서둘러 만든 제품의 품질 저하를 경계하는 의미로 사용됨 - 중기: 일반적인 작업이나 과업 수행에서 신중함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의미로 확장됨 - 현재: 모든 종류의 활동에서 조급함의 부정적 결과를 경계하는 일반적 교훈으로 사용됨 【 문법적 기능 】 ▪ 기본 문법 형태: 단순 문장(simple sentence) ▪ 구조: - 주어(subject): haste (명사) - 동사(verb): makes (현재형) - 목적어(object): waste (명사) ▪ 문장 내 기능: - 완전한 독립절로 사용 - 현재 시제로 보편적 진리 표현 - 주어+동사+목적어의 기본 문장 구조 ▪ 주요 활용: - Remember (that) haste makes waste (서두르면 실수한다는 것을 기억해) - As they say, haste makes waste (속담처럼, 서두르면 실수하게 돼) ▪ 활용 예시: - "Remember what I told you: haste makes waste." (내가 한 말 기억해: 서두르면 실수하게 된다) - "They were right about 'haste makes waste'." ('서두르면 실수한다'는 말이 맞았어) 【예문과 활용】 ▪기초 예문 "Take your time - haste makes waste." (천천히 해 - 서두르면 실수하게 될 거야) "The project failed because haste makes waste." (이 프로젝트는 너무 서두르다 실패했어) ▪실전 회화 예문 "Slow down a bit. You know what they say about haste makes waste." (좀 천천히 해. 서두르면 실수한다잖아) "I learned the hard way that haste makes waste." (서두르면 실수한다는 걸 뼈저리게 배웠어) ▪유사 표현 "More haste, less speed" (서두를수록 더 늦어진다) "Slow and steady wins the race" (꾸준히 천천히 하는 게 성공한다) ▪반대 표현 "Time is money" (시간이 돈이다) "Strike while the iron is hot" (기회를 놓치지 마라) 【 주의할 점 】 ▪자주 혼동하는 표현: - "Time is of the essence"(시간이 매우 중요하다)와의 상황 구분 ▪ 발음 주의: - 세 단어의 모음 [eɪ] 발음을 일관되게
어찌 mud가 들어간게 건배가 되는건지 ㅎㅎㅎ 공부의 끝이 없군요 . Here’s mud in your eye s all students! Study hard for your splendid future!
내가 유래 불분명한건 잘 안적는데 MinjuChung님이 궁금해 하신듯해서 내용 추가했어요 ㅎㅎ - mud(진흙)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한 유래는 불분명하지만,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추측도 추가 합니다. 1.경마 문화: 경마장에서 진흙탕을 헤치고 달리는 말들의 모습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우승마의 눈에 진흙이 튀는 것을 행운의 상징으로 여겼다는 것입니다. 2.광부 문화: 광부들이 지하에서 작업할 때 진흙이 눈에 튀는 것을 흔히 겪었는데, 이를 안전과 풍요의 상징으로 여겼다는 설이 있습니다. 3.농업 문화: 농부들이 밭에서 일할 때 진흙이 눈에 튀는 것을 풍년의 징조로 여겼다는 설이 있습니다
【 기본 정보 】 ▪ 영어 표현: "Red herring" ▪ 직역: (문자적 의미): "붉은 청어" red (붉은), herring (청어) (관용적 의미): 주의나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리는 거짓 단서나 오해의 소지를 의미 ▪ 의역: 1. 잘못된 실마리 2. 오해를 부르는 단서 3. 주의를 분산시키는 것 4. 논점을 흐리는 거짓 정보 ▪ 발음: [ˌred ˈherɪŋ](레드 헤링)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리거나 잘못된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 ▪ 뉘앙스: - 의도적인 기만이나 혼란을 암시 - 잘못된 방향 제시 - 헛된 추적 ▪ 사용 맥락: - 수사/조사 과정 - 추리 소설/영화 - 논쟁/토론 - 문제 해결 상황 ▪ [ 유래/역사,어원,기원 ]: 이 표현은 1807년 영국 언론인 윌리엄 코벳(William Corbett)의 글에서 처음 사용되었습니다. 흔히 동물권 운동가들이 사냥개를 방해하기 위해 훈제 청어를 사용했다는 설이 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실제로는 말이나 개를 훈련시키는 데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문법적 기능 】 ▪ 기본 문법 형태: 명사구(noun phrase) ▪ 구조: - 형용사(adjective): red - 명사(noun): herring -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하는 기본 명사구 구조 ▪ 문장 내 기능: 1. 명사적 용법: - 주어: A red herring confused them - 목적어: They found a red herring - 보어: This clue is a red herring 2. 관사 사용: - 항상 부정관사 'a'와 함께 사용 - a red herring ▪ 주요 동사 결합: - be + a red herring (잘못된 실마리이다) - prove to be + a red herring (잘못된 실마리로 판명되다) - turn out to be + a red herring (결국 잘못된 실마리였다) ▪ 활용 예시: - "That clue was a red herring." (그 단서는 잘못된 실마리였다) - "It proved to be a red herring." (그것은 잘못된 실마리로 판명됐다) - "The evidence turned out to be a red herring." (그 증거는 결국 잘못된 실마리였다) 【예문과 활용】 ▪기초 예문 "The mysterious phone call was just a red herring." (그 수수께끼 전화는 그저 잘못된 실마리였다) "The police followed several red herrings before finding the real criminal." (경찰은 진범을 찾기 전에 여러 잘못된 실마리를 쫓았다) ▪실전 회화 예문 "Don't waste time on that lead - it's probably a red herring." (그 단서에 시간 낭비하지 마 - 아마 잘못된 실마리일 거야) "The subplot turned out to be a red herring in the movie." (그 서브 플롯은 영화에서 주의를 분산시키는 장치로 판명됐다) ▪유사 표현 "False lead" (잘못된 단서) "Wild goose chase" (헛된 추적) ▪반대 표현 "Real clue" (진짜 단서) "Genuine lead" (진정한 실마리) 【 주의할 점 】 ▪자주 혼동하는 표현: - "False alarm"(헛된 경보)과의 차이 - "Dead end"(막다른 길)와의 구별 ▪ 발음 주의: - 'herring'의 'ng' 발음 정확히
아 ㄱ래?어 쩔수가 없구나😅
웃 음이나오지?